본문 바로가기
농창업

청년창업농 사업계획서

by 식물조련사 2022. 9. 3.
728x90

청년창업농 사업계획서 작성방법은 저번 작성요령과 다르지 않다. 자소서처럼 작성하는 영농 동기 및 경영계획에 대해 3가지 항목별로 필자가 합격하기 위해 쓴 계획을 토대로 들어가면 좋을 요점을 소개해보려고 한다. 영농동기, 현재상황, 경영계획순이다.

 

1. 영농동기

영농 동기 항목은 말그대로 지원자가 왜 청년창업농 사업을 통해 농촌에 정착하고 싶은지를 묻는 문항이다. 요기서 생각해야 할껀 질문자의 의도라고 생각한다. 영농동기를 물어보는 의도가 무엇일까? 정말 관심이 있고 정착해 성공적으로 농업에 종사할수 있는 사람인가가 질문자의 의도라고 생각한다. 

 

  • 그렇다면 청년창업농이라는 지원사업을 실시하는 이유를 생각해보자.간단하다 농촌엔 젊은 인구가 없다. 왜그럴까? 농업은 도시 직장에 비해 실패확률도 높고 토지구매부터 설비시설까지 자금도 많이 들어간다. 자금없는 청년이 뛰어들기에는 여러가지로 무리가 많다. 하지만 농촌인구는 점점 줄어 인구소멸 직전인 도시까지 나오기 시작한다. 정부는 청년들이 농촌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하길 바란다. 인구쏠림과 식량 안보를 위해서라도 정부는 그걸 원한다. 또한 이상적인 그림으로는 잘 정착한 청년농부가 사업이 커지며 직원들이 필요해지고 그로인해 지방에 일자리가 창출되길 원한다.
  • 그렇다면 영농동기는 어떤식으로 작성되어야할까? 당연히 농업에 어떤 동기로 관심이 생겨 청년창업농이라는 지원사업을 알게되었고 꼭 청년창업농이 되어 성공적인 농업정착을해 마을에도 이바지하고싶다. 라는 내용이 들어가야한다.

이렇게 이야기하니 너무 거창하고 대단한 노력들을 해야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이 지원사업은 농업에 종사하지 않지만 관심있는 청년들을 농업에 정착할수있게 돕는 사업이기 때문이다. 물론 약간의 노력은 필수다. 농업교육포털을 통해 교육을 이수하고 원하는 작물을 공부하고 기회가 된다면 살고있는 동네 주변 기술센터나 농가를 방문해 체험을 해본 경험, 나아가 시골에서는 직접 고쳐야 할 일이 많아 굴삭기와 같은 자격증을 딴 이야기 등 조금만 신경쓰면 준비할 수 있는 경험들로 어필해도 좋다. 너무 뻔하지만 꼭 새로울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심사하시는 분들은 구체적으로 계획하고 그 계획을 이행할 농업경영인을 원한다. 

2. 현재상황

현재상황 또한 앞선 영농동기에서 어필한 노력들을 구체적이고 자세히 작성하며 이 노력과 더불어 어떤점을 더 이뤄가고 싶고 보안할 것이며 어떤 노력이 추가로 계획중인지를 어필하면 좋다. 예를 들어 영농에 종사하기 위해 농업교육을 듣고 기술센터 또는 농촌진흥청 자료를 잠고하여 소득이 좋은 지역별 작물의 동향을 파악하고 마음에 드는 작물이 생겨 주변 농가에서 체험을 하며 기술을 익혔다. 라고 한다면 추가로 농업은 공판장으로 수매를 넣으면 가격이 좋지 않아 개인 판매를 위한 판로개척을 위해 마케팅이나 플래폼운영을 통해 미래 판매처를 구축하고 있다 또는 그러한 교육을 듣고 있다라고 앞으로의 계획을 추가로 이야기하면 좋다. 또는 정착할 농지를 알아보려 부동산을 다닌다, 혹은 농지은행 사이트를 통해 임대할 토지의 시세를 알아봤다와 같이 구체적인 영농에 필요한 계획이면 어떤것이던 좋다. 

 

또한 청년창업농에게 이런점을 바란다.

  •  6차산업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일자리 창출
  • 농업의 다원적 기능을 이해하고 지역주민과 상생하기

이런 주제에 맞는 교육이나 노력을 찾아봐도 좋다.

 

3. 경영계획

이 항목이야 말로 가장 구체적이고 허황되지 않으며 실현 가능한 계획이어야한다. 나름의 포부가 있다면 그 목표까지 가는 과정은 꼭 전부 이루지 못하더라도 노력해볼수있는 수준인게 좋다. 가장 농업인스러운 사이클은 이렇다. 토지를 구매또는 임대하고 작물을 심는다. 작기가 짧은 작물과 긴작물, 혹은 체험농업을 하는지, 가공을 하는지 자신이 하는 방향에 따라 이야기는 달라진다. 우선 가장 베이직한 루트를 설명하겠다.

 

청년창업농의 대표적인 혜택으로는 3억대출융자와 생계유지자금이 있다. 가지고 있는 혜택을 잘 이용하는 것도 구체적인 계획에 들어간다. 이것 말고도 직불금, 선도농가와 멘토,멘티관계를 맺거나, 농지은행 1순위 임차등이 가능하니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은 제도가 있다면 찾아보고 적용시켜보길 바란다.

 

  • 우선 농업인은 토지를 구매해 농사를 짓는게 가장 베이직 하다. 과정으로는 우선 정착하고자 하는 지역의 부동산 시세를 알아야한다. 매매가 가능하다면 매매도 고려해보고 가격이 부담된다면 토지임대로 시작하는게 바람직하다. 임대를 한다면 농지은행을 통한 농지를 구매하는 것이 좋고 약간의 팁을 주자면 토지는 도로를 꼭 물고 있는편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지적도상 맹지라면 도로가 없는 땅에 들어갈수없다. 토지를 임차나 매매후 작물을 심으면 작기가 짧은 작물과 과수원같은 수확까지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 작기가 짧다면 어떤식으로 농사를 지을것인지, 필요 농기구나 기계 인건비가 든다면 어떻게 처리 할 것인지 등을 고려해볼수있고 과수원이라면 나무를 키우는 동안 생계지원자금과 같이 밭 고랑에 부수입을 줄 작물을 심거나, 다른 농지에서 일을 해 생계를 하거나 등등 다양한 플랜을 독자의 상황에 맞게 구성한다.
  • 앞선 설명은 기초적인 재배까지 이고 청년후계농이라면 사업계획서중 이부분을 잘 설명하라. 재배 이후 어떤 방향으로 사업을 확장할지 어필하자.  판로를 개척해 유통마케팅으로 갈수도 있고, 나오는 부산물을 통해 가공에 뛰어들수도 있으며, 체험농업을 도입해 서비스업까지 도전해볼수있다. 이로인해 지역에 어떤 이로운 효과를 주며 경제적으로 어떤 효과 나타날지 어필해라. 그리고 그 과정은 상당히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해야한다.

댓글